라벨이 음식인 게시물 표시

중국 컵라면 강사부 홍소우육면 康师傅 红烧牛肉面 캉시푸 홍샤오니우러우미엔

이미지
오늘 먹어볼 라면은 후추라면과 같은 회사에서 나온 홍소우육면이다. 빨간 디자인과 사진의 비주얼이 왠지 한국의 신라면처럼 중국을 대표하는 컵라면이지 않을까 하는 판단이었다. 홍소(홍샤오)는 고기를 볶는 방법 중 하나인데, 홍소육은 설탕과 중국 향신료들을 사용해 볶아서 붉은빛을 띄도록 한 고기 요리이다. 여기에 육수를 넉넉히 붓고 끓여 면을 담아내면 홍소우육면... 은 다른 얘기이고 컵라면이나 먹어 보도록 하자. 진짜 배고파서 먹으려고 끓인 거라 사진을 핸드폰으로 대충 찍어서 영.... 어디 부딪혔는지 컵이 찌그러졌다. 내용물은 포크, 건더기스프, 분말스프, 기름스프이다.  흑후추라면과는 다르게 고기는 짜파게티에 들어있는 것과 비슷한 콩고기 같다. 그래도 이정도면 역시 건더기는 풍부한 편인듯, 포크는 역시 사용하지 않았다. 분말 스프가 시뻘건 스프일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스프를 찍으려고 했는데 포커스가 이상한데 맞았지만(ㅡ,.ㅡ) 약간 붉은빛이 도는 것 같기도 하고...  고수향이 엄청 강할 줄 알았는데 고수는 안 들어있는 모양이다. 그리고 역시 들어있는 이상한 비주얼의 기름스프... 이거 영 불편하다. 짜기도 불편하고...  완성된 모습.  역시 물이 엄청 들어간다. 과거를 잊고 또 여러번 끓여서 부었다... 1L 정도는 준비해야 넉넉할듯. 표지 디자인과 다르게 생각보다 안 빨간 라면이었다. 내가 너무 한국식 라면을 예상해서 그랬는지도 모르지만... 면은 그냥 노말했고... 국물이 생각보다 괜찮았다. 가게에서 사먹는 우육면 국물 같은 정도. 정줄 놓고 후룩후룩 마시다가 아차차 하고 남겼다. 기름이 둥둥 뜬 비주얼이 조금 무섭긴 했기에... 고기가 가짜 고기라서 건더기 자체는 크게 만족스럽진 않은 편이다. 그리고 먹다 보니 약간 얼큰한 기운도 ...

남자의 해장요리 황태라면 만들기

이미지
사실 이거는 내가 창업 하려고 했는데 돈도 없고 누가 따라 만들지도 않을것 같아서 그냥 올려봄 아예 방을 구해서 집에서 나온지 이제 5년차인데, 냉장고에 항상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이 황태채다. 황태채 말고 건표고도 구비했었는데 이거는 그때그때 영 상태가... 라면 끓일때 말고는 전혀 쓸일이 없지만? 비싸지도 않고 1인 가구 기준 하나면 1년 내내(매일 먹진 않으니까ㅡ,.ㅡ) 먹을 수 있으니 구비해두면 좋다. 냉동실에서 꺼낸 황태채를 적당히 꺼낸다. 황태의 효능: 은 검색해 보시고 영양만점 슈퍼푸드 황태이다. 명예 고성군민 타이틀을 떼도 황태 명태 명태식해 노가리 등등 명태는 하느님의 축복이다. 따라서 과하게 많이 넣어도 괜찮음. 식수를 약간만 부어서 불려줄 거다. 황태채를 라면에 사용할 경우 세가지 선택권이 있는데, 1. 그냥 끓이기 2. 볶아서 끓이기 3. 불려서 볶아서 끓이기 볶아서 끓이면 참기름과 만나서 스컹크 냄새가 한국인을 행복하게 해준다. 그냥 볶아서 끓여도 괜찮은데 다 끓인 후에도 황태가 딱딱할 수 있어서 요즘엔 불려서 볶는 걸 선호 햇반 작은공기를 미리 돌려준다. 큰공기는 라면 먹고 밥 말아 먹기는 좀 많음 미리 돌려주고 식혀놔야 나중에 밥 말았을때 좋음 그래서 미리 결정해야 함 밥까지 먹을지... 안먹을지... 면 다 먹고 돌리면 늦어서 국물이 곡기를 과하게 먹음 물을 조금 넣었으니만큼 가위로 잘라주면서 대충 섞어준다. 그럼 다 잘랐을 때쯤 적당히 불어 있음. 뭐 삼십분을 불리고 한시간을 불리고?? 이건 남자 요리에 쓰는 방법이 아니다. 기름은 참기름을 사용. 약간 아...쏟았다 싶을 때까지 부어주면 된다. 옥수수, 올리브유등은 해봤는데 영 밍밍했다. 들기름은 너무 과한 것 같고 참기름이 적절함. 전자렌지에서 튀어나온 햇...

중국 컵라면 강사부 흑호초우배면 康师傅 黑胡椒牛排面 후추소고기라면 후기

이미지
아시아권 나라에 여행을 가면 꼭 하는 것. ~편의점에서 현지 컵라면 사기~ 에서 도전해본 라면이다. 산지는 꽤 됐는데 무서워서 방치했다가 설렁탕이 너무 먹고 싶던 밤 설렁탕 맛이 나길 기대하며 까보았다. 후추와 소고기를 강조했다. 직화구이 스테이크를 통째로 넣은 비주얼이 굉장하다. 기름 둥둥 떠다니는 디테일이 ㅎㄷㄷ 무슨 말인지 알아볼 수가 없어서 조리법도 모르겠다. 만국공통 컵라면 조리법, 끓는물 넣고 3분으로 조리하기로 했다. Not 한국 라면답게 포크가 들어있다. 물론 버리고 젓가락으로 먹음. 젓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건 생각보다 굉장한 일이다. 양식당 가면 젓가락을 안줘서 좀 빡치는데 일본사람들처럼 들고 다녀야겠다. 역시 not 한국 라면답게 무지하게 풍성한 건더기 스프가 들어있다. 왜 한중일 삼국 중에 한국 컵라면만 유독 창렬할까? 정말... 그런데 고수가 다량 들어있으니 유의해야 할듯. 나도 못먹진 않는데 좋아하진 않아서 베트남 컵라면 같은건 고수 빼고 먹었다. 아, 베트남 컵라면도 건더기 스프가 창렬했던 기억이 나네. 그리고 분말스프와 기름?스프다. 분말스프는 딱 사리곰탕 스프 같은 느낌과 맛이었다. 다른 스프들을 안 넣고 이것만 넣었으면 원래 목적인 설렁탕에 가장 근접했을 듯. (그냥 사리곰탕을 먹던가... 봉희설렁탕을 먹던가... 설렁탕집에 가던가...) 저 기름스프가 좀 놀라웠는데... 후추&고기&소기름이 고체화된 상태로 들어있었다. 짜고보니 비주얼이 영... 죄송합니다. 저걸 짜보고 약간의 후회가 들었다. 어쩌랴, 이미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만 것을... 이렇게 편리한 와리바시(대량구매하는 오뚜기 컵누들 살때 받은)가 있는데... 대체 왜 안 쓰는지 모르겠다. 닛신 컵누들 같은 거에도 포크가 들어있고....

중국 농심 컵라면 김치라면 辣白菜拉面 랄백채랍면 라바이차이라미엔 후기

이미지
심심해서 써보는 라면 시식기. 마트나 편의점 라면 코너에 가면 농심 라면이 신라면 외에도 몇개 있다. 이 김치라면과, 우육탕면, 그리고 김치비빔면, 김치볶음 등이 있는데 중국음식의 느끼함에 너무 지쳤을 때 김치를 보 고른 게 이거였다. 辣白菜는 랄백채, 라바이차이, 매운 흰 채소.... 김치라는 뜻이다. 拉面은 랍면, 라미엔, 라면... 라면이다.  펩시인지 태극무늬인지를 적절히 배치해서 국가 소속감을 살렸다. 아마도 농심 김치사발면과 비슷한 맛일 것 같다. 볶음김치도 아니고, 김치블럭도 아닌 그냥 몇 쪼가리가 들어있다.  무난한 분말스프...  크... 딱 기대하는 맛이다. 한국에서 자랐다면 누구나 만족스러워 할 맛! 그리고 마지막 사진의 김치는 따로 산 것... 오해 없으시길 바란다. 김치찌개 맛을 내려고 해서 그냥 매운라면보다 조금 더 한국 맛이 난다. 중국에서 중식에 너무 지쳤을 때 한그릇 하면 좋겠다. 소주랑.